안녕하세요!
'달리기 부상 백과사전'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이제 무릎, 정강이, 발바닥까지 발밑의 주요 부상들을 다뤄보았으니, 몸의 중심이자 달리기 움직임의 핵심인 골반과 허벅지로 시선을 돌려보겠습니다. 달리기의 안정성과 추진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현대인의 좌식 생활 때문에 가장 약해지기 쉬운 부위입니다.
러너 여러분! '달리기 부상 백과사전'의 여섯 번째 주제는 고관절 굴곡근 부상입니다. 고관절 굴곡근은 장요근(대요근과 장골근), 대퇴직근 등 여러 근육을 통칭하며, 이 근육들이 건강해야만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효율적으로 무릎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서 보냅니다. 앉아있는 자세는 고관절을 계속해서 굽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이 근육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짧아지고 경직됩니다. 이렇게 뻣뻣해진 고관절 굴곡근으로 달리기를 하게 되면, 정상적인 보폭이 나오지 않고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골반 전방경사) 허리와 무릎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오늘은 고관절 굴곡근을 다시 길고 유연하게, 그리고 강력하게 만드는 비결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고관절 굴곡근 부상은 보통 염좌나 염증 형태로 나타나며, 통증 부위가 깊은 곳에 위치하여 허리 통증으로 오해하기도 쉽습니다.
고관절 굴곡근 부상 회복의 핵심은 짧아진 근육을 이완(스트레칭)시키고, 약해진 반대편 근육(엉덩이)을 강화하여 균형을 맞추는 데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병행해야 합니다.
고관절 굴곡근 부상은 단순히 '달리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하루 24시간 생활 패턴에서 비롯된 문제입니다. 일상 속 습관을 교정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고관절 굴곡근은 달리기의 효율성과 장기적인 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엔진입니다. 당장의 통증을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생활 속 좌식 습관을 돌아보고 고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이완과 강화 루틴을 통해 단단하고 유연한 고관절을 만들고, 더욱 안정적이고 힘찬 달리기를 즐기실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
✔️ [다음 편 예고]
이제 부상의 영역을 벗어나, 모든 러너의 숙제이자 달리기 효율을 극대화하는 열쇠인 '코어 근육'을 다뤄볼 차례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코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달리기에 특화된 최강의 코어 운동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다음 글: [달리기 부상 백과 7편] 러너를 위한 최강 코어 운동: 달리기 효율을 극대화하는 3가지 루틴
| [달리기 부상 백과 8편] 러닝 중 발생하는 허리 통증: 코어 약화가 주범! 해결하는 코어 운동 (0) | 2025.10.17 |
|---|---|
| [달리기 부상 백과 7편] 햄스트링 손상: 달리기 중 근육 파열 예방 및 재활 가이드 (0) | 2025.10.17 |
| [달리기 부상 백과 5편] 족저근막염 완치 가이드: 발바닥 통증 원인과 3단계 관리 루틴 (0) | 2025.10.16 |
| [달리기 부상 백과 4편] 아킬레스건염 완전 정복: 발목 뒤 통증 재활 3단계 루틴 (0) | 2025.10.15 |
| [달리기 부상 백과 3편] 신스플린트 완치 가이드: 정강이 통증 원인과 3단계 대처법 (0) | 2025.10.15 |